에 의해서 이끼 | 11월 2, 2021 | 환경운동사
1998년 11월 10일, 반달가슴곰 발자국을 공개하다 1998년 11월 10일 모든 신문에 전날 녹색연합이 공개한 한 장의 사진이 실렸다. 눈 위에 찍힌 선명한 길이 15cm의 야생동물의 발자국과 크기를 비교하기 위해 옆에 놓아 둔 목장갑 한 짝. 눈 위에 발톱까지 선명하게 찍힌 발자국의 주인공인 바로 반달가슴곰. 그리고 이 사진이 촬영된 곳은 백두대간의 강원도 지역. 당시는 호랑이나 표범처럼 이미 멸종된 것으로 생각했던 반달가슴곰의 흔적이 지리산 일대에서 발견되며...
에 의해서 이끼 | 9월 30, 2021 | 환경운동사
1999년 10월 2일 우유병되살리기 10만인 선언 유리병 우유를 마신 적이 있나요? 요즘에도 나오는 큰 우유병 말고 180리터의 작은 유리병 우유를 마신 적이 있다와 없다로 세대를 가를 수 있을 정도로 우유병은 추억의 물건이다. 마시고 난 우유병을 가게에 돌려주거나 대문 앞에 걸린 우유배달 주머니에 담아두면 배달원이 수거해 가는 방식으로 몇 번이나 재사용되었던 우유병. 그러나 병우유는 1972년부터 보급되기 시작한 종이팩에 밀려 차츰 줄어들다 1989년 서울우유협동조합이...
에 의해서 이끼 | 9월 7, 2021 | 환경운동사
2019년 9월 21일 기후위기 비상행동 코로나 이전 거리에서 하나된 우리 이제 코로나 이전에 있었던 일들이 너무 아득한 일처럼 느껴질 때가 많다. 2년 전 2019년 9월 21일, 전국 곳곳에서 ‘지금이 아니면 내일은 없다, 지금 말하고 당장 행동하라’는 기후위기비상행동의 구호를 외치며 거리에 사람들이 모였다. 서울에선 대학로에 1만여 명의 사람들이 모였다. 2019년은 등교를 거부하고 기후위기의 심각성과 대응을 외치는 청소년들의 기후파업이 전 세계에서 일어나고 우리나라의...
에 의해서 이끼 | 8월 3, 2021 | 환경운동사
전력수요와 2003년 8월 22일 8월 22일은 에너지의 날이다. 2004년 에너지의 날을 제정하면서 당시까지 역사상 최대 전력수요량을 기록한 2003년 8월 22일을 기억하자는 의미였다. 2003년 8월 22일 그 날의 전력수요량은 45.98GW. 그럼 18년이 지난 2021년의 8월의 전력수요량은 어느 정도일까? 2003년 8월 22일을 기억하며 에너지의 날을 만든 이유가 무색하게 일일 최대전력수요는 2004년 바로 50GW가 넘었고 2007년 62GW,...
에 의해서 이끼 | 7월 1, 2021 | 환경운동사
2013년 7월 19일자 한 아침 신문엔 ‘제돌아, 춘삼아 행복하렴’ 이라는 제목의 사진 기사가 실렸습니다. 사진엔 넘실거리는 푸른 바다에 물보라를 일으키며 주둥이를 내민 돌고래 한 마리가 있습니다. 사진의 주인공은 제돌이입니다. 제돌이는 2009년 어느 날 그물에 잡혀 서울대공원에서 쇼를 하는 돌고래가 된 지 5년여 만에 다시 고향 앞바다로 돌아온 남방큰돌고래입니다. 야생훈련과정에서 탈출해 스스로 바다로 돌아간 춘삼이를 비롯해 제돌이와 춘삼이에 이어 태산이, 복순이,...
에 의해서 이끼 | 6월 1, 2021 | 환경운동사
1992년 6월 리우회의 이후 30년 1980년대까지 세계는 ‘냉전시대’였습니다. 미국과 소련을 두 축으로 언제든지 세계전쟁이 일어날 수 있다는 위기감은 어느 나라도 예외가 아니었습니다. 1991년 소련이 해체되며 마침내 냉전시대가 끝나고 이제 세계는 전쟁이 아닌 다른 이야기를 할 수 있게 되었을 때, 비로소 세계의 정상들은 모여서 ‘환경’을 이야기했습니다. 바로 1992년 6월 3일부터 6월 14일까지 브라질 리우데자네이루에서 열린 ‘환경과 개발에 관한 유엔회의’입니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