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녹색시계

⁕ 이 달의 책 : 그린뉴딜과 신공항으로 본 대한민국 녹색시계 ⁕ 저자 : 강수돌, 이헌석, 이영경, 이무진, 김현지, 홍수열, 이성근, 오동필, 윤상훈, 지리산산악열차반대대책위원회, 신재은 ⁕ 출판사 : 산현재 소리로 함께 나누고 싶은 내용 <대한민국 녹색시계>는 현장의 남은 사람들이 전하는 이야기입니다.  과연 우리가 위험상태의 대한민국 환경시계를 정지시킬 수 있을 지, 아니 보통 내지 좋은 상태로 되돌릴 수 있을 지 진지하게 묻고 잇습니다. 이번 녹색희망에서는...

2011년 3월 11일 후쿠시마 원전 폭파

후쿠시마는 여전히 2011년 3월 11일이다. 2011년 3월 11일 대형 쓰나미가 일본을 강타했다는 뉴스를 들으며 걱정하던 중 후쿠시마 핵발전소 폭발 소식을 들었을 때의 그 놀라움과 공포가 아직도 생생한데 벌써 11년이 흘렀다. 해마다 이 날이면  311 사고를 되짚으며 현재의 후쿠시마 모습을 찾는 기사들이 쏟아지는데, 언제나 같은 내용이다. 후쿠시마는 여전히 그 날의 사고에서 벗어나지 못했다는. 물론 사고 당시 후쿠시마현 주변 50km까지 주민대피령이 내려졌지만 지금은...

왜 동물을 그만 먹게 되었는지에 관하여

“왜 비건이 됐나요?”라는 질문에 답하기는 생각보다 쉽지 않습니다. 가랑비에 옷 젖듯 비건을 지향하게 되는 사람도, 특정한 일을 통해 비건이 된 사람도 있어요. 삼시세끼뿐 아니라 일상의 전반을 모두 바꿔버린 비건 지향 생활, 비건을 지향하기까지의 고민의 시간과 예상치 못한 즐거움에 대해 활동가들의 이야기를 들려드릴게요. ① <<나의 가랑비>> 채현 : 나는 불과 4~5년 전까진 스스로 비건이 될 거라고 상상해본 적이 없었어. 다들 시기는 조금씩 다르지만...

향모를 땋으며

⁕ 이 달의 책 : 향모를 땋으며 ⁕ 저자 : 로빈 월 키머러 지음 / 노승영 옮김 ⁕ 출판사 : 에이도스 소리로 함께 나누고 싶은 내용 오늘은 첫 번째 장 ‘향모심기’ 중 ‘딸기의 선물’ 부분을 함께 읽어보겠습니다. 저자는 본인을 딸기가 키운 아이라고 소개합니다. 저자는 어린시절 마을에서 자라던 야생 딸기와의 관계맺기를 통해 세상에 대한 감각과 세상 속의 자리를 찾아갑니다. 자연과 선물관계를 맺으며 만들어진 저자의 세계관이 가장 잘 녹아있는 부분입니다. 대선기간 내내 공항,...

1971년 2월 2일 세계습지의날

자연을 지키기 위한 최초의 국제협력이 만들어지다. 2월2일은 세계 습지의 날입니다. 1971년 2월 2일 이란의 도시 람사에서 채택된 ‘물새서식지로서 특히 국제적으로 중요한 습지에 관한 협약’(람사협약)을 기념해 만들어진 날입니다. 람사협약은 세계가 생태계 보호를 목적으로 만든 최초의 협약입니다. 세계대전은 끝났지만 여전히 세계가 전쟁 후유증과 이념적인 대립으로 꽁꽁 얼어붙어 있던 시절, 국경을 넘나들며 하늘을 날고 뭍에 내려와 쉬고 먹이 활동을 해야 하는 새들의 안녕을 위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