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303
어떻게 산이 변하니
산을 올라 발아래 두는 등산(登山), 산의 품 안에 들어가는 입산(入山). 당신은 어떤 마음을 가지고 산으로 향하시겠습니까?

2003년 12월 31일, ‘백두대간보호법’ 제정

2003년 12월 31일, '백두대간보호에 관한 법률' 제정     2003년 12월 31일 백두대간보호법 제정   2003년 12월 31일 ‘백두대간보호에 관한 법률(이하 백두대간보호법)’이 드디어 제정되었습니다. 지금은 너무나도 익숙한 단어인 ‘백두대간’이 당시만 하더라도 여전히 낯선 개념이었던 시절, 백두대간을 실체로 인정하는 보호법이 만들어진 것은 백두대간보호활동을 펼쳐온 녹색연합을 비롯한 환경단체들의 노력이 있었기 때문입니다.  ...

11월엔 무슨 일이?

보도자료 | 구출 웅담채취용 사육곰, 청주동물원에서 잘 지내요! 2018년과 2019년 사육곰 농장에서 구출된 반달가슴곰들을 기억하시나요? 그 중 반이, 달이, 들이가 있는 청주동물원을 시민들과 함께 찾았습니다. 곰들이 먹을 간식도 준비하고  사육곰이 곰답게 살아가길 바라며 철창에 갇힌 곰을 형상화한 ‘UN-BEAR-ABLE’(견딜 수 없는)이라는 메시지를 실크스크린 기법으로 티셔츠, 가방에 찍어보는 활동을 함께 했습니다. 2023년 6월 기준 여전히 299마리의 웅담채취용...

현장에선 매일같이 어떤 일이 벌어지고 있을까요?

현장은 녹색연합 활동의 시작이자 끝입니다. 현장에서 보고 듣고 포착한 내용은 녹색연합 활동의 가장 기본적인 토대가 됩니다. 환경문제의 최일선에서 활동한 매월의 이야기는 '🌎지구력레터'로 발행 됩니다.  11월의 지구력을 사알짝 '맛보기' 해보세요. 매 월 최신 현장 소식을 가장 빨리 받아보시고 싶다면 각 레터의 하단 버튼을 눌러 구독하세요.😁   1. 빠르게 집단고사하고 있는 구상나무 모니터링을 위해 한라산에 다녀왔습니다. 진달래밭대피소를 지나 해발 1,500m부터...

길에서 산양을 마주치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도시에서 만나는 야생생물들은 어떻게 관리되고 있고, 우리는 그들을 어떻게 대해야 할까요? 도심 한복판에서 보호종이나 멸종위기야생생물을 마주치는 일이 종종 보도되고 있습니다. 최근 서울에서는 지속적으로 수달이나 산양의 출현이 확인되고 있기도 합니다. 맹꽁이나 도롱뇽과 같은 동물들도 서울에 살고 있습니다. 도심에서 마주치는 야생동물이 늘어난다는 건 도시 공간의 생물 다양성이 커지고 있다는 점을 보여주기도 하지만, 한편으로는 그만큼 생물들의 서식지가 위협받고 있다는 점을 방증하기도...

#11 마지막 고백

녹색툰 - 이다 #11 마지막 고백   작가소개 | 이다 환경활동가 이다솜입니다. 녹색연합에서 10년째 활동하고 있어요. ‘이다’라는 이름으로 일상에서 발견하는 자연과의 연결을 그립니다.   Instagram @e.da.diary ...

산양 똥을 먹는 사람

⁕ 이 달의 책 : 산양 똥을 먹는 사람 ⁕ 저자 : 박그림 ⁕ 출판사 : 명상   이런 분께 추천합니다 😏 산양의 흔적을 쫓고 싶은 분들 😮 설악산 자연 파괴의 현장이 알고 싶은 분들 😎 산양과 설악산을 지키는 사람의 이야기가 궁금하신 분들   활동가의 책소개 안녕하십니까, 녹색연합 공동대표 박그림입니다. 제가 쓴 책 '산양 똥을 먹는 사람'은 2000년 8월 15일부터 10월 3일까지 전국 40개 도시 순회강연을 떠나면서 설악산의 기쁨과 슬픔, 깃들어...

2023-10 수입과 지출

수입 (132,534,920)정기기부금 121,555,475사업지정기부금 510,000비정기기부금 3,615,565일반사업수입 4,302,975사업외수입 2,550,905  사업지정기부금야생동물보호운동 510,000  지출 (127,616,708)사업수행비용 100,172,355모금비용 18,167,869일반관리비용 9,276,484  사업영역별 지출녹색사회 33,262,371생태보전 10,868,772야생동물보호 11,214,044생태순환 12,084,095환경안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