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 의해서 JISAM | 2월 13, 2025 | 활동보고서
[서식지 보전 및 생명권 보장] 비인간존재가 권리를 가지는 세상은 어떤 세상일까요? 나와 함께 사는 사랑스러운 반려동물과 제주 바다에 사는 야생 남방큰돌고래의 권리는 어떻게 같을까요? 녹색연합은 모두의 권리를 지키기 위한 새로운 가능성을 모색했습니다. 혐오와 무관심에 포위된 일상 속, 내 곁의 소중한 존재와 더불어 더 많은 자연과 공존할 방법을 고민하는 다정한 사람들을 만났습니다. 때로는 퍼포먼스를 통해 몸짓으로, 때로는 함께 공부하고 이야기 나누며 모두의 권리가 지켜지는...
에 의해서 JISAM | 2월 13, 2025 | 활동보고서
[서식지 보전 및 생명권 보장] 길의 다양한 모습을 떠올려봅니다. 숲길, 논두렁, 오솔길, 물길을 통해 다양한 생명들이 지나가겠지요. 언제부터일까요? 이제 ‘길’은 인간을 위한 이동 수단으로 한정되어 버렸고, 더 빠르게 이동할 수 있는 이동시설로 인식됩니다. 그래서, 이제 길은 야생동물들의 이동 속도도, 사람들의 걷는 속도도 쉽게 허락하지 않습니다. 더 빠르게 이동할 수 있는 자동차들의 이동시설로 생각되고 미로처럼, 거미줄처럼 추가적인 도로들이 개발되고 있습니다. 그래서 길...
에 의해서 JISAM | 2월 13, 2025 | 활동보고서
[서식지 보전 및 생명권 보장] 전북녹색연합은 새만금신공항 건설을 저지하고 수라갯벌을 지키기 위한 운동에 집중했습니다. 2022년 2월부터 국토교통부 청사 앞에서 평일마다 진행 중인 새만금신공항 철회촉구 천막 농성은 이제 1,100일을 향합니다. 전국 곳곳에서 달려와 우리가 지켜야 할 생명의 자리와 투쟁의 자리를 함께 지키는 동지들 덕분에 긴 싸움을 이어갈 힘을 얻습니다. 수라갯벌 길라잡이 교육과정에서는 수라갯벌에 기대어 살아가는 새, 저서생물, 식물, 양서파충류, 곤충,...
에 의해서 JISAM | 2월 13, 2025 | 활동보고서
[서식지 보전 및 생명권 보장] 2024년 녹색법률센터는 가덕도신공항 기본계획 취소소송, 새만금신공항 기본계획 취소소송, 설악산 오색 케이블카 취소소송을 진행했습니다. 가덕도신공항 소송에서는 권력분립원칙에 위반되는 가덕도특별법의 위헌성을 알리고 헌법재판소에 위헌법률심판을 제청하도록 신청했습니다. 새만금신공항 소송은 2025년 2월 현재, 1심이 거의 마무리 단계에 와 있습니다. 오색 케이블카 소송은 1심에서 아쉽게도 패소하였지만 2심에서 더욱 탄탄한 논리로 재판부를 설득하고자...
에 의해서 JISAM | 2월 13, 2025 | 활동보고서
[해양⋅육상 생태계 보전] 녹색연합은 환경 문제를 다룰 때 사전예방 원칙과 오염자 부담 원칙을 중요하게 생각합니다. 환경 문제는 발생 후 복구가 어렵기 때문에 사전에 예방하는 것이 핵심이며, 환경을 오염시킨 주체가 그 책임을 지고 복구해야 한다는 원칙입니다. 환경영향평가는 이러한 원칙을 기반으로 운영되는 제도로, 개발사업이 자연 환경과 지역 주민에게 미칠 영향을 조사하고, 부정적인 영향을 줄이거나 피하기 위한 조치를 마련하는 역할을 합니다. 그러나 전국 곳곳에서 거짓·부실...
에 의해서 JISAM | 2월 13, 2025 | 활동보고서
[해양⋅육상 생태계 보전] 파란은 해양다큐멘터리 제작팀 돌핀맨, 6명의 탐사대원들과 함께 제주의 해양보호구역 14곳을 탐사하였습니다. 제주도 본섬과 섬 안의 섬을 종횡무진 다니며, 지역 주민들과 분야별 전문가를 만났습니다. 바람과 파도를 맞으며 잘피와 해조류, 연산호와 남방큰돌고래를 만났고 미역의 실종 소식을 들었으며, 바닷속과 해안에서 쓰레기를 마주했습니다. 불(화산)과 물(바다)의 조화로 형성된 성산일출봉과 보호가 필요한 공간임에도 정작 도립 공원 부지에는 포함되지 않아...
최신 댓글